본문 바로가기
당일분석

2025년 8월 14일 오늘의 주식 분석

by 고포릿스탁 2025. 8. 18.

 ADR

KOSPI 77.17
KOSDAQ 81.01

 

 

 주요이슈

 

- 코스피시장 -

8/14 KOSPI 3,225.66(+0.04%) 美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기관 순매수(+), 외국인 순매도(-), 美 경제지표 관망

지난밤 뉴욕증시가 9월 금리인하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3,226.52(+2.15P, +0.07%)로 강보합 출발. 장 초반 3,239.55(+15.18P, +0.4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하락 전환했고,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였음. 오후 들어 낙폭을 키워 3,210.83(-13.54P, -0.42%)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하기도 했으나 장 후반 재차 낙폭을 줄였고, 혼조세를 거듭하다 결국 3,225.66(+1.29P, +0.04%)에서 강보합 마감.

옵션만기일을 맞은 가운데, 美 금리 인하 기대감 반영 등으로 장 초반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장중 외국인 순매도 규모가 증가하면서 코스피지수는 상승폭을 반납한 채 강보합권에서 거래를 마감. 기관은 5거래일만에 순매수, 외국인은 하루만에 순매도 전환, 개인은 이틀 연속 순매도. 美 7월 CPI 발표 이후 Fed 9월 금리 인하 기대감이 지속됐으나 시총 1, 2위 삼성전자(-0.42%), SK하이닉스(-0.54%)가 다소 부진했고, 美 7월 PPI 및 소매판매/산업생산 등 주요 경제지표 발표를 앞둔 관망심리가 커지는 모습.

주요 제약/바이오 업체 2분기 호실적 및 美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10.16%), 일동제약(+3.44%), 경보제약(+2.80%), 명문제약(+2.42%), 부광약품(+2.21%), 대웅제약(+1.52%), SK바이오사이언스(+1.52%), 보령(+1.42%), 제일약품(+1.14%)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마스가(MASGA) 프로젝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HD현대중공업(+2.14%), 한화오션(+0.28%), HD현대마린엔진(+1.84%), HD현대마린솔루션(+1.03%) 등 일부 조선/조선기자재 테마도 상승. 서흥(+29.77%), TP(+15.45%), STX엔진(+27.59%), 메리츠금융지주(+6.15%) 등은 2분기 호실적 등에 상승.

반면,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코어위브(-20.83%)가 실적 부진 등에 급락하면서 전반적인 반도체주 투자심리 위축 속 삼성전자(-0.42%), SK하이닉스(-0.54%)가 약보합.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12.44%)는 2분기 실적 부진 등에 급락. 한온시스템(-15.51%)은 재무구조 개선 등 목적으로 유상증자 검토 소식 등에 급락. 전일 22% 넘게 급등했던 LG디스플레이(-10.61%)는 이날 10% 넘게 급락.

일본, 중국, 대만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하락.

수급별로는 기관이 175억 순매수,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799억, 536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4,484계약 순매도, 기관과 개인은 각각 3,588계약, 688계약 순매수.

달러-원 환율은 오후 3시30분 기준 1,382.0원으로 전거래일대비 2.6원 상승.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1.3bp 하락한 2.404%, 10년물은 전일 대비 2.2bp 하락한 2.787%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6틱 오른 107.48 마감. 외국인이 8,755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5,147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7틱 오른 118.78 마감. 외국인, 은행, 투신이 각각 1,893계약, 490계약, 375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2,802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삼성생명(+2.55%), HD현대중공업(+2.14%), 삼성물산(+1.55%), 카카오(+1.42%), LG에너지솔루션(+1.16%), 현대차(+0.69%), 한화에어로스페이스(+0.57%), 기아(+0.48%) 등이 상승. 반면, 한국전력(-1.77%), 두산에너빌리티(-1.50%), KB금융(-1.22%), 현대모비스(-0.84%), 삼성바이오로직스(-0.67%), 셀트리온(-0.57%), SK하이닉스(-0.54%), 신한지주(-0.43%), 삼성전자(-0.42%), HD한국조선해양(-0.26%)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하락이 다소 우세. 전기/가스(-1.45%), 의료/정밀기기(-1.31%), 부동산(-1.28%), 음식료/담배(-1.22%), 비금속(-0.92%), 운송/창고(-0.59%), 기계/장비(-0.56%), 증권(-0.55%), 종이/목재(-0.53%), 제약(-0.38%), 전기/전자(-0.17%) 등이 하락. 반면, 통신(+1.53%), 보험(+1.17%), 일반서비스(+0.95%), 화학(+0.62%), IT 서비스(+0.58%), 섬유/의류(+0.57%), 운송장비/부품(+0.47%), 유통(+0.46%), 오락/문화(+0.22%), 금속(+0.20%)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3,225.66P(+1.29P/+0.04%)

 

 

 

- 코스닥시장 -

8/14 KOSDAQ 815.26(+0.14%) 美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외국인·기관 순매수(+), 美 경제지표 관망

지난밤 뉴욕증시가 9월 금리인하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14.48(+0.38P, +0.05%)로 강보합 출발. 장 초반 하락하기도 했으나 상승 전환해 상승폭을 키웠고, 817.22(+3.12P, +0.38%)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상승폭을 반납했고 오전중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거듭했음. 오후 들어 낙폭을 다소 키워 812.38(-1.72P, -0.21%)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하기도 했으나 장 후반 소폭 상승세를 보인 끝에 결국 815.26(+1.16P, +0.14%)에서 강보합 마감.

美 금리 인하 기대감이 지속된 가운데, 코스닥지수는 장 초반 상승폭을 키우기도 했으나 광복절 휴장 및 美 7월 PPI 및 소매판매/산업생산 등 주요 경제지표 발표를 앞둔 관망심리 속 코스닥지수는 강보합권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이 2거래일 연속 동반 순매수한 반면, 개인은 이틀 연속 순매도.

웹툰 엔터(+81.20%), 월트디즈니 컴퍼니와 글로벌 콘텐츠 파트너십 체결 등에 탑코미디어(+17.61%), 미스터블루(+11.17%), 미투온(+6.01%), 핑거스토리(+2.63%), 와이랩(+2.01%), 엔비티(+1.48%) 등 웹툰 테마가 상승. 美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등에 에이비엘바이오(+7.11%), 알피바이오(+5.69%),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4.67%), 압타머사이언스(+2.12%), HK이노엔(+1.81%), 셀트리온제약(+1.69%), 서울제약(+1.50%), 녹십자웰빙(+1.38%), HLB제약(+1.14%), 하이텍팜(+1.13%), 인벤티지랩(+5.89%), 올릭스(+5.10%), 디앤디파마텍(+1.75%), 펩트론(+1.29%), 리가켐바이오(+0.32%)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도 상승. 금일 신규상장한 지투지바이오(+61.72%)는 급등.

반면, 지슨(-23.56%)은 스팩합병 상장 첫날 급락. 월덱스(-12.66%), 케이에스피(-10.93%), 와이솔(-7.60%), 티로보틱스(-4.91%), 피제이전자(-7.09%) 등은 2분기 실적 부진 등에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532억, 17억 순매수, 개인은 323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에이비엘바이오(+7.11%), JYP Ent.(+4.76%), 실리콘투(+4.35%), 에스엠(+3.55%), 파마리서치(+2.86%), 에코프로(+2.45%), 클래시스(+2.18%), 코오롱티슈진(+1.95%), 셀트리온제약(+1.69%), 에코프로비엠(+1.68%), 펩트론(+1.29%), 레인보우로보틱스(+0.93%), 리가켐바이오(+0.32%) 등이 상승. 반면, 알테오젠(-2.67%), 이오테크닉스(-1.67%), 리노공업(-1.58%), HLB(-1.08%), 케어젠(-0.81%), 삼천당제약(-0.48%), 휴젤(-0.31%)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림. 오락/문화(+1.57%), 기타제조(+1.52%), 금융(+1.38%), 유통(+0.96%), 기술성장기업(+0.93%), 제약(+0.88%), 화학(+0.64%), 출판/매체복제(+0.62%), 운송장비/부품(+0.22%), 통신(+0.16%), IT 서비스(+0.15%) 등이 상승. 반면, 종이/목재(-1.74%), 섬유/의류(-1.24%), 건설(-0.82%), 일반서비스(-0.74%), 운송/창고(-0.70%), 음식료/담배(-0.42%), 비금속(-0.37%), 전기/전자(-0.32%), 금속(-0.27%), 의료/정밀기기(-0.13%)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815.26P(+1.16P/+0.14%)

 

 

 

 시장종합

 

 

 

 

 특징테마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네이버웹툰 모회사 웹툰 엔터(+81.20%), 월트디즈니 컴퍼니와 글로벌 콘텐츠 파트너십 체결 소식에 웹툰 테마 상승.

▷주요 제약/바이오 업체 2분기 실적 호조 및 美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제대혈, 탈모 치료, 줄기세포, 면역항암제, 바이오시밀러, 비만치료제 등 제약/바이오 테마 상승.

▷정부, 수소에너지 국정과제 추진 기대감 등에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테마 상승.

▷비트코인 등 가격 사상 최대치 돌파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일부 두나무 테마도 상승.

▷李 정부 첫 경제전략에 '남북경협' 포함 소식 등에 일부 남북경협 테마 상승.

▷최근 면세점·인천공항 '임대료 인하' 갈등 지속 속 하락했던 면세점 테마 상승.

▷JYP Ent.(+4.76%) 2분기 호실적 발표 속 엔터테인먼트 테마 상승.

▷이 외 리튬, 터치패널, 백신여권, 탄소나노튜브(CNT), 애플페이, 2차전지(생산), NI(네트워크통합), 통신, 원자력발전소 해체, 건강기능식품, 아스콘, 손해보험, 광고,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SI(시스템통합), 육계, 항공기부품, 게임, 건설 대표주, 영상콘텐츠, 유심, 스테이블코인,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패션/의류, 고령화 사회(노인복지), 폐배터리, 강관업체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2분기 실적 부진 영향 등에 타이어 테마 하락.

▷전일 미국 내 中 OLED 퇴출 전망 속 반사수혜 기대감 등에 강세를 나타냈던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테마 차익 매물 속 하락. LG디스플레이(-10.61%) 급락 속 IT 대표주 등도 하락.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뉴로모픽 반도체, HBM 등 반도체 관련 테마 하락.

▷한온시스템(-15.51%)이 유상증자 검토 소식에 급락한 가운데, 일부 자동차 대표주 하락.

▷이 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아이폰, 생명보험, 카지노, 핵융합에너지, LED장비, 김밥(냉동김밥 등), 갤럭시 부품주, 스마트카, 밥솥, 뉴로모픽 반도체, 초전도체, 유리 기판, 해운, 탈 플라스틱, 무선충전기술, 휴대폰부품, PCB(FPCB 등), 피팅(관이음쇠)/밸브, 캐릭터상품, 모더나, 마켓컬리, 폴더블폰,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풍력에너지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웹툰 네이버웹툰 모회사 웹툰 엔터(+81.20%), 월트디즈니 컴퍼니와 글로벌 콘텐츠 파트너십 체결 소식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서 네이버웹툰의 모회사인 웹툰 엔터테인먼트(웹툰 엔터)가 월트디즈니와 파트너십을 맺었다는 소식에 81.20% 폭등 마감. 웹툰 엔터는 지난 12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월트디즈니 컴퍼니와 글로벌 콘텐츠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밝힘. 이번 계약에 따라 디즈니와 마블, 스타워즈, 20세기 스튜디오의 인기 지식재산(IP)이 세로 스크롤 방식의 웹툰으로 제작될 예정. 첫 번째 웹툰화 작품으로는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어벤져스', '스타워즈', '에이리언', '아주 오래된 이야기' 등 5편이 선정됐다며, 웹툰 엔터는 영어 앱에 디즈니 전용관을 마련하고 약 100편의 협업 시리즈를 선보일 계획으로 제작에는 인공지능(AI)을 사용하지 않고 전통적인 방식이 적용된다고 전해짐.

▷언론에 따르면, 월가에서는 이번 파트너십을 웹툰 플랫폼 가치 상승의 계기로 평가하고 있다고 전해짐. 투자은행 레이먼드 제임스는 디즈니처럼 까다로운 IP 보유자의 승인을 받은 것은 웹툰 플랫폼의 가치와 독특한 고객층과의 연결성을 입증하는 것이라며, 다른 주요 IP 보유자들도 웹툰과 협업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분석. JP모건 역시 이번 협력이 디즈니의 최대 규모 출판 파트너십 중 하나라고 평가.

▷이 같은 소식에 탑코미디어, 미스터블루, 미투온, 핑거스토리, 와이랩 등 웹툰 테마가 상승.
제약/바이오 주요 제약/바이오 업체 2분기 실적 호조 및 美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기술 수출 계약을 통해 2분기 실적에서 뚜렷한 성장세를 기록. 에이비엘바이오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75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84억원)대비 797% 증가한 실적을 올렸으며, 이번 매출은 전액 기술이전 수익으로 지난 5월 글로벌 제약사 GSK로부터 수령한 계약금 약 793억원이 실적 상승을 견인했음. 유한양행도 폐암 치료제 '렉라자'의 기술료 수익덕분에 2분기 실적이 대폭 개선됐으며, 잠정 집계 결과 유한양행의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190.1% 증가한 456억원, 매출은 5,56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8.1% 증가. 특히, 라이선스 수익은 전년동기대비 4,502.3% 증가한 255억원에 달한 것으로 알려짐. 종근당 역시 글로벌 제약사 노바티스에 기술 수출한 신약 후보물질과 관련해 첫 기술 수출 기술료(마일스톤)를 수령하며 실적 개선에 힘을 실었으며, 종근당의 2분기 별도기준 매출은 4,296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1.6%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음.

▷이와 관련,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플랫폼이나 후보물질의 임상 진전 및 기술 수출 성과가 실적에 긍정적으로 반영되면서, 투자와 후속 개발을 수월하게 하는 선순환을 일으키고 있다"고 설명.

▷美 9월 금리 인하 기대감 등도 바이오 투자심리를 개선시키는 모습. 긍정적으로 작용. 최근 발표된 대표적 인플레이션 지표인 7월 CPI가 엇갈린 모습을 보였지만, 전품목 수치가 둔화한 만큼 9월 금리 인하는 확실하다는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음.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뉴욕증시 장 마감 무렵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에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을 93.8%로 반영했으며, 50bp 금리인하(빅컷) 확률도 새롭게 등장하면서 50bp 인하 확률은 6.2%로 반영됐음. 美 정부 인사들이 연방준비제도(Fed)를 겨냥해 금리인하를 계속 압박하는 점도 금리 인하 기대감을 키우고 있음. 스콧 베선트 美 재무부 장관은 "9월부터 50bp 인하(빅컷)를 시작으로 연속 금리 인하가 가능하다고 본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경보제약, 부광약품, 에이비엘바이오, 헬릭스미스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정부, 수소에너지 국정과제 추진 기대감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가 전일 향후 5년간의 국정 청사진을 담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을 공개한 가운데,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은 국가비전과 3대 국정원칙, 5대 국정목표, 12대 국정과제, 재정지원 계획, 입법 추진계획 등으로 구성됐음. 이 가운데 에너지 전환 분야에서는 전국 전력망과 수소·재생에너지 인프라를 연결하는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계획을 본격화한다고 알려짐.

▷특히, 국정기획위원회가 새 정부 국정과제 123개를 발표한 가운데, 전국을 5개 권역과 3개 특별자치시도로 재편해, 수도권 1극 체제를 넘겠다는 구상이 담겼음. 지역 맞춤형 미래산업으로 강원도에는 바이오와 수소에너지, 인공지능 기반 첨단산업을 꼽았으며, 전라남도는 재생에너지 기반 '마이크로그리드 산단' 전환과 '청정수소 에너지 산업벨트'를 구축으로 석유화학 위기를 극복한다는 구상이 담겼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두산퓨얼셀, 에스퓨얼셀, 비나텍, SK디앤디, 범한퓨얼셀, 인지컨트롤스 등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테마가 상승.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비트코인 등 가격 사상 최대치 돌파 등에 상승
▷미국의 우호적인 입법 조치와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암호화폐 가격이 연일 강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비트코인 가격은 장중 한때 12만4천달러 선을 돌파했으며, 이더리움 가격도 4,700달러를 돌파하면서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가고 있음. 한편, 이날 오후 4시 기준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인 빗썸과 업비트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1억6,670만원, 이더리움은 650만원 선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음.

▷이와 관련,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01(k) 계정을 통해 대체자산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으며, 실제 법이 개정되는 기간과 운용사들이 상품을 설계하는 데 걸리는 시간 등을 고려하면 2026년 말부터 실제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감성코퍼레이션, 인바이오젠, 티사이언티픽, 위지트, 비트맥스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상승.
남북경협 李 정부 첫 경제전략에 '남북경협' 포함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기획재정부가 다음주 공개할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에 남북 경협 준비 문구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해짐. 구체적인 사업 내용 대신 남북 간 대화 여건이 조성되면 경협을 본격 추진하겠다는 방향성이 담길 것으로 알려짐. 정부가 매년 두 차례 발표하는 경제정책방향에 ‘남북 경협 준비’ 관련 문구가 포함된 것은 2020년 이후 5년 만으로 대북 제재 상황에서도 남북 교류 협력 사업을 사전에 발굴해 한반도 긴장 완화 등 여건이 무르익으면 개성공단을 비롯한 남북 경협을 추진해 부진한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임.

▷정부가 마련 중인 경제성장 전략에는 북미 대화 진전 등 여건이 조성됐을 때 경협을 본격화하기 위한 선제적 준비가 포함된다며, 여건 조성 시 추진할 수 있는 사업으로 개성공단 재가동, 나진·하산 프로젝트, 광역두만개발계획(GTI) 북한 재가입, 한강하구 공동 이용 사업 등이 검토되고 있음. 이와 관련, 기재부 고위 관계자는 “남북 경제협력이 이뤄질 수만 있다면 잠재성장률 3%대 달성은 충분히 가능하다”며 “지금 당장 할 수 없어도 상황이 조성되면 언제든지 진행할 수 있도록 경협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힘.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에 따르면 30년간 개성공단 가동의 누적 경제성장 효과는 159조2,000억원에 달한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제이에스티나, 인디에프, 신원, 재영솔루텍 등 일부 남북경협 테마가 상승.
타이어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2분기 실적 부진 영향 등에 하락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36조원(전년동기대비 +131.66%), 영업이익 3,536.40억원(전년동기대비 -15.80%), 순이익 1,787.52억원(전년동기대비 -44.68%). 특히, 타이어 부문 영업이익은 17.5% 감소한 3,464억 원으로 집계되었음. 글로벌 시장에서의 교체용 및 완성차 브랜드 신차용 타이어 판매 증가,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비중 확대로 매출액은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재료비와 운임비, 미국 자동차 부품 관세 등의 영향으로 감소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최대주주 한국앤컴퍼니,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437.52억원(전년동기대비 -5.43%), 영업이익 738.67억원(전년동기대비 -40.79%), 순이익 565.29억원(전년동기대비 -47.88%).

▷이 같은 소식 속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한국앤컴퍼니가 급락한 것을 비롯해 넥센, 넥센타이어 등 타이어 테마가 하락.



 

 

 

 특징종목

 

특징종목 이슈요약
서흥
(008490)
23,800원
(
+29.77%)
2분기 호실적에 상한가
▷전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900.20억원(전년동기대비 +9.98%), 영업이익 201.22억원(전년동기대비 +83.62%), 순이익 239.43억원(전년동기대비 +695.13%).
STX엔진
(077970)
36,300원
(
+27.59%)
2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136.55억원(전년동기대비 +8.25%), 영업이익 333.47억원(전년동기대비 +53.21%), 순이익 297.14억원(전년동기대비 +87.26%).
TP
(007980)
1,928원
(
+15.45%)
2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581.19억원(전년동기대비 +10.20%), 영업이익 113.54억원(전년동기대비 +21.93%), 순이익 99.18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950210)
15,720원
(
+10.16%)
24년(06월결산) 사상 최대 연간 매출 달성 등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24년(06월결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43.25억원(전년대비 +1,978.96%), 영업손실 673.09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이익 42.13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특히, 매출액은 연간 사상 최대 매출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투즈뉴의 품목허가에 따른 원액 판매 뿐 아니라 위탁개발(CDO)에 따른 개발용역 매출 및 위탁포장 등 분석용역 매출이 증대했다"며, "향후 기존 계약 및 수주 건들에 대한 가동 및 납품 추진 등을 통한 실적 개선이 기대 된다"고 언급.
HS애드
(035000)
8,770원
(
+10.04%)
기업가치 제고 계획 발표 등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기업가치 제고 계획('25년내 보유 중인 자기주식 359,765주 전량 소각 등) 공시. 연결재무제표 기준 당기순이익의 30% 이상이었던 기본 배당성향을 향후 3년간 50% 이상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이후엔 최대 60%까지 높인다는 계획으로 기본 배당 외에도 매년 주당 300원의 추 가 배당을 향후 3년간 실시할 방침임. 또한, 올해부터 처음으로 중간배당도 실시한다며, 보통주 1주당 100원(시가배당율 1.2%) 현금배당(중간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8-28) 공시. 아울러 현재 보유 중인 자사주 35만 9765주(발행주식 총수의 2.17%)를 연내 전량 소각할 예정.
▷한편,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89.98억원(전년동기대비 -20.66%), 영업이익 4.61억원(전년동기대비 -92.50%), 순손실 6.1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에이블씨엔씨
(078520)
11,100원
(
+9.90%)
2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76.93억원(전년동기대비 +3.06%), 영업이익 71.87억원(전년동기대비 +39.56%), 순이익 39.43억원(전년동기대비 +9.10%).
티에이치엔
(019180)
3,180원
(
+7.98%)
2분기 호실적에 강세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525.42억원(전년동기대비 +49.81%), 영업이익 207.84억원(전년동기대비 +94.91%), 순이익 186.99억원(전년동기대비 +73.23%).
현대해상
(001450)
27,800원
(
+6.31%)
2분기 재무안정성 개선 분석 등에 강세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업종 전반적으로 발생보험금 증가세가 지속되는 국면에서 동사의 2분기 보험손익은 예상된 수준의 부진을 나타냈지만, 긍정적인 점은 CSM의 기중 조정 규모가 축소되고 시장금리 상승에 의한 AOCI 개선으로 K-ICS비율이 170%로 상승하면서 재무안정성이 직전보다 개선된 것과, 연이은 신계약 마진 제고로 인해 미래서비스손익을 담보하는 CSM이 질적으로 좋아진 것이었다고 밝힘. 다만, 자산-부채 듀레이션 갭은 -3.0년으로 전분기보다 0.8년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상장사 중 가장 언매칭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언급.
▷동사의 투자 포인트인 관리급여 신설과 자본 규제 강도의 약화 기대감은 유효하다며, 커버리지사 중 유일하게 YTD 10% 미만의 주가 상승률을 기록한 동사는 재료 실현에 시간이 필요할지언정 상승여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 이에 업종 차선호주로 유지한다고 언급.
▷한편, 2Q25 별도 당기순이익은 2,478억원(-30% YoY)으로 당사 추정치에 부합하지만 시장 컨센서스를 8% 하회했다고 밝힘. 특히, 2Q25 보험손익은 2,127억원(-43% YoY)으로 감소했다며, 전년 동기에 이례적으로 흑자를 나타낸 예실차가 적자로 전환된 것과 PAA손익의 감소가 YoY 감익의 주 원인이라고 설명.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8,000원[유지]
메리츠금융지주
(138040)
120,800원
(
+6.15%)
2분기 실적 기대치 상회 및 주주환원 정책 기대감 등에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35조원(전년동기대비 -16.67%), 영업이익 9,497.33억원(전년동기대비 -5.55%), 순이익 7,375.68억원(전년동기대비 +0.18%).
▷이와 관련,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지배주주순이익은 1% (YoY) 감소한 7,251억원으로 추정치 부합했고, 시장 기대치는 9% 상회했다며, 메리츠화재/메리츠증권의 순이익은 각각 4%/5% (YoY) 증가하며 자회사 모두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다고 설명.
▷이어 하반기에는 매일 약 75억원의 자사주를 매입 중이며, 자사주 매입/소각의 수익률이 요구수익률을 상회하고 있음에 따라 당분간 자사주 중심의 주주환원 정책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예상 주주환원수익률은 6% 중반대까지 상승했는데, 견조한 실적을 이어가고 있는 동시에 자사주 매입/소각에 따라 빠른 BPS 증가가 예상되는 바 향후 안정적인 주가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다고 판단한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50,000원[유지]
SJG세종
(033530)
4,885원
(
+5.28%)
2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814.56억원(전년동기대비 +4.45%), 영업이익 372.08억원(전년동기대비 +54.94%), 순이익 229.07억원(전년동기대비 +16.97%).
신도리코
(029530)
45,000원
(
-4.66%)
2분기 적자전환에 하락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12.40억원(전년동기대비 -21.99%), 영업손실 17.87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145.5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한화생명
(088350)
3,125원
(
-6.30%)
2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영업이익 2,407.04억원(전년동기대비 -36.59%), 순이익 1,657.65억원(전년동기대비 -44.56%).
한온시스템
(018880)
3,160원
(
-15.51%)
재무구조 개선 등 목적으로 유상증자 검토 소식 등에 급락
▷재무구조 개선 계획 공시. 재무구조 개선 및 성장재원 확보를 목적으로 자본 확충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주주가치 희석을 방지하기 위해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의 유상증자를 최우선 방안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힘.
▷아울러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85조원(전년동기대비 +11.65%), 영업이익 643.00억원(전년동기대비 -10.17%), 순손실 150.86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한편, '한온시스템, 국내외 공장 통폐합 추진' 보도에 대한 해명(미확정) 공시를 통해 관세정책 등 급변하는 시장상황에 대응하고 사업 운영을 효율화하기 위해 국내외 공장 통폐합을 추진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세부사항은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 없다고 밝힘.

 

특징종목 이슈요약
지투지바이오
(456160)
93,800원
(
+61.72%)
신규 상장 첫날 급등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58,000원을 상회한 86,5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세를 기록. 한편, 동사는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플랫폼 업체로 약효지속성 의약품 개발을 위한 미립구 원천기술(InnoLAMP)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술이전 및 임상용역서비스 사업, CDO/CDMO 사업 등을 영위. 주력 파이프라인으로는 GB-7001(1개월 약효 지속 당뇨/비만 치료제), GB-5001(1개월 약효 지속 치매 치료제), GB-6002(3일 이상 약효 지속 수술 후 통증 치료제) 등이 있음.
한텍
(098070)
47,000원
(
+21.29%)
2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93.13억원(전년동기대비 +25.17%), 영업이익 181.72억원(전년동기대비 +194.55%), 순이익 138.40억원(전년동기대비 +19.97%).
탑코미디어
(134580)
2,150원
(
+17.61%)
2분기 흑자전환에 급등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48.88억원(전년동기대비 +169.80%), 영업이익 29.78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15.75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강스템바이오텍
(217730)
1,340원
(
+14.43%)
글로벌 빅파마와 오가노이드 사업 관련 협력 기대감 등에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글로벌 제약 J사와 A사로부터 오가노이드 사업 관련 협력 제안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해짐. 특히, 세계 최대 헬스케어 기업 J사와 피부 오가노이드 사 업 협력을 위한 막바지 절차를 진행 중으로, 최근 J사로부터 피부 오가노이드 사업 관련 최종 승인을 위한 내부 절차를 진행 중이라는 답변을 받았다고 알려짐. J사는 세계 최대 규모의 헬스케어 기업이자 글로벌 제약사 시가총액 톱3에 속하는 거대 기업으로 지난 1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를 시작으로 '바이오USA 2025'에서 후속 미팅을 가졌으며, 이후 수차례 연구 협의를 거쳐 피부질환 모델 평가를 구체화하고 있다고 전해짐.
▷또한, 자가면역 질환 치료제 기업 A사 역시 신약개발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동사의 오가노이드 기술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알려짐.
모비데이즈
(363260)
1,840원
(
+12.75%)
2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1.83억원(전년동기대비 +21.93%), 영업이익 24.75억원(전년동기대비 +318.07%), 순이익 17.18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코아시아
(045970)
5,180원
(
+8.03%)
2분기 영업이익 흑자 전환 등에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85.12억원(전년동기대비 +22.57%), 영업이익 36.99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손실 48.5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축소).
SG
(255220)
2,490원
(
+7.79%)
2분기 흑자전환에 강세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51.37억원(전년동기대비 +5.34%), 영업이익 21.52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34.84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감성코퍼레이션
(036620)
6,090원
(
+7.22%)
상반기 실적 호조 등에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상반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1,003.00억원(전년 동기대비 +14.95%), 영업이익 155.88억원(전년동기대비 +6.39%), 순이익 125.62억원(전년동기대비 +4.20%).
▷동사는 언론을 통해 선제적인 제품 개발, 마케팅 강화가 호실적의 배경이었다고 설명. 이와 관련, 이상 고온 현상에 맞춰 냉감 기능성 제품군을 미리 확대하고 고기능 신소재를 적용해 기능성과 착용감을 동시에 잡았다고 밝힘.
▷동사 관계자는 "제품 디자인과 소재 개발에 대한 선제적이고 지속적인 투자와 고객 경험 중심의 마케팅 전략이 긍정적인 실적 성장으로 이어졌다"며, "하반기에는 해외 시장 진출 확대와 메인 모델 교체 등을 통해 더욱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고 밝힘.
산돌
(419120)
7,630원
(
+6.42%)
2분기 실적 호조에 강세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9.32억원(전년동기대비 +41.64%), 영업이익 10.62억원(전년동기대비 +206.93%), 순이익 12.36억원(전년동기대비 +299.94%).
엠에스씨
(009780)
8,590원
(
+6.31%)
2분기 실적 호조에 강세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08.33억원(전년동기대비 +9.56%), 영업이익 91.96억원(전년동기대비 +21.60%), 순이익 61.40억원(전년동기대비 +8.23%).
나우로보틱스
(459510)
15,160원
(
+6.09%)
'글로벌 Z사'향 로봇 개발 검증테스트 돌입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글로벌 Z사와의 다관절 로봇 개발이 막바지로 접어들면서 일부 품목에 대한 검증 테스트에 돌입한다고 밝힘. 앞서 동사는 Z사와 중대형 다관절 로봇을 공동 개발해 ODM 형태로 생산·납품한다는 협약을 맺은 바 있음.
▷Z사향 매출이 본격 더해질 것으로 보이면서 올해 실적 개선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음. 내부적으론 최근 수주 잔고와 추가로 협의 중인 예상 수주 물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올해 연매출이 지난해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전방산업 투자결정이 1분기 이후에 이루어 지는 관행에 따라 회사 매출이 주로 하반기에 집중되는 계절성이 있다"며, "수주잔고 및 수주 진행분 등을 감안하면 올해 매출은 전년대비 견조한 실적을 유지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
아이티센피엔에스
(232830)
2,500원
(
+5.93%)
2분기 흑자전환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68.41억원(전년동기대비 +1,651.19%), 영업이익 15.24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8.91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아이디피
(332370)
4,925원
(
+4.79%)
2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54.96억원(전년동기대비 +26.57%), 영업이익 56.67억원(전년동기대비 +68.43%), 순이익 41.72억원(전년동기대비 +25.31%).
JYP Ent.
(035900)
79,300원
(
+4.76%)
2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영업이익은 각각 2,158억원(+126% YoY)/528억원(+466%)으로 컨센서스 429억을 상회했다고 언급. 앨범은 ITZY/NEXZ/킥플립 및 스트레이키즈의 앨범 약 200만장이 반영되었으며, 콘서트는 스트레이키즈의 역대 최대 월드 투어 19회 및 북미 공연 초과 수익(RS) 등이 반영되면서 역대 최대인 620억원(+342%)을 기록했다고 밝힘. 이어 실적 서프라이즈는 MD를 포함한 기타 부문으로 MD 매출이 스트레이키즈 월드 투어에 더해 Stray Kids X 다마고치, TWICE X 산리오 일본 팝업 등이 더해지며 669억원(+356%)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영향이라고 분석.
▷아울러 올해 하반기에는 트와이스가 케이팝데몬헌터스 흥행에 따라 빌보드 내 자체 최고 순위를 달성하고 있고, 2026년 북미·유럽까지 이어지는 월드 투어가 진행된다며, 스트레이키즈는 잔여 월드 투어와 2번의 컴백이 예상되며, 이외 니쥬의 일본 자체 최대 규모 투어와 중국 보이그룹 CIIU의 8월 데뷔 등이 계획돼 있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90,000원 -> 95,000원[상향]
엠플러스
(259630)
10,360원
(
+4.44%)
2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95.97억원(전년동기대비 +216.29%), 영업이익 122.37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65.55억원(전년동기대비 +3,996.50%).
브이티
(018290)
37,950원
(
+4.40%)
해외 매출 비중 상승 속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
▷NH투자증 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1,115억원(-2% y-y), 영업이익이 291억원(+8% y-y)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했고, 2분기 별도기준 매출액은 959억원(+39% y-y), 영업이익은 266억원(+33% y-y)을 기록했다고 밝힘. 2분기 해외 매출 비중은 67%(+9%p y-y)로, 그간 일본에 집중되었던 글로벌 매출이 미국/기타 지역으로 확대, 고단가 리들샷 비중이 상승함에 따라 전사 매출총이익률이 61.9%(+8.5%p y-y)로 개선되었다고 설명.
▷아울러 하반기는 전년비 마케팅 전반 강화할 계획이나, 비율 자체는 상반기 기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 리오더 기대와 국별 신규 오프라인 채널 입점 등을 통해 상저하고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SCL사이언스
(246960)
2,600원
(
+4.21%)
2분기 매출액 호조 등에 상승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4.93억원(전년동기대비 +347.09%), 영업손실 13.71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확대), 순이익 2.07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동사 관계자는 언론을 통해 "주요 사업군의 고른 매출 증가와 SCL헬스케어 연결실적 반영으로 매출 성장이 본격화됨에 따라 원가율, 영업이익률도 개선돼 내년 손익분기점 달성도 기대된다"며 "이러한 기반 사업의 성장을 바탕으로 SCL그룹의 데이터와 결합시킨 카이스트(KAIST)의 AI기반 암 정밀의료 신사업의 성과도 하반기에는 가시화될 것"이라고 밝힘.
에이치피오
(357230)
2,525원
(
+3.70%)
2분기 실적 호조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48.73억원(전년동기대비 +19.63%), 영업이익 56.30억원(전년동기대비 +110.23%), 순이익 40.02억원(전년동기대비 +112.30%).
▷동사는 언론을 통해 상반기 매출 1,303억원, 당기순이익 52억원을 기록했다며, 영업이 익률은 5.5%를 기록해 지난해 연간 2.85%에서 크게 개선됐다고 밝힘. 이는 수익성 중심 경영 체계 확립, 대형 유통 채널 매출 성장, 대표 제품군의 전략적 확장 등 세 가지 축이 맞물린 결과라고 언급.
벨로크
(424760)
938원
(
+3.42%)
2분기 흑자전환에 상승
▷전일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95.70억원(전년동기대비 +85.07%), 영업이익 3.92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13.72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현대힘스
(460930)
23,000원
(
+3.14%)
2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23.12억원(전년동기대비 +8.15%), 영업이익 82.58억원(전년동기대비 +20.32%), 순이익 62.56억원(전년동기대비 +23.39%).
쎄트렉아이
(099320)
49,250원
(
+3.14%)
상저하고 실적 전망 및 우주산업 성장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LS증권은 동사에 대해 B2G 사업 경우 상저하고 실적 흐름을 보인다며, 이에 따라 2H25 원가투입이 1H25보다 집중돼 매출이 집중될 것으로 추정. 25년3월 발사한 자체 광학 위성인 SpaceEye-T의 경우 영업활동을 진행중이며, 자회사 SIA, SIIS와 시너지를 통해 적자폭을 지속 줄일 것으로 전망. 한편, 동사는 자체위성을 추가로 발사할 계획으로 관련 원재료 및 외주가공비 투입이 지속 이뤄질 것으로 보이지만, 해당 비용들은 단기 방산매출 통해 일부 상쇄 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
▷아울러 동사는 국내 유일 체계종합, 탑재체, 지상체, 서비스를 턴키 공급할 수 있는 기업이며, 방위산업을 근간으로 성장할 국내 우주산업 성장 속 직접적인 수혜를 볼 것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8,000원 -> 63,000원[상향]
펨트론
(168360)
10,880원
(
-3.55%)
48.78억원(자기자본대비 17.40%)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에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48.78억원(자기자본대비 17.40%)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공시.
티로보틱스
(117730)
10,650원
(
-4.91%)
2분기 적자지속에 하락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9.51억원(전년동기대비 -9.63%), 영업손실 10.2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25.1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133.37억원(자기자본대비 34.25%)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공시.
피제이전자
(006140)
5,770원
(
-7.09%)
2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397.08억원(전년동기대비 -1.16%), 영업이익 14.82억원(전년동기대비 -21.75%), 순손실 1.2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와이솔
(122990)
5,960원
(
-7.60%)
2분기 적자전환에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79.86억원(전년동기대비 -16.09%), 영업손실 210.4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140.4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오리엔탈정공
(014940)
6,870원
(
-7.79%)
2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15.35억원(전년동기대비 -6.58%), 영업이익 62.38억원(전년동기대비 -9.46%), 순이익 41.03억원(전년동기대비 -38.58%).
서호전기
(065710)
37,850원
(
-9.12%)
2분기 순이익 부진 속 급락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11.69억원(전년동기대비 +182.55%), 영업이익 51.40억원(전년동기대비 +393.75%), 순이익 3.90억원(전년동기대비 -85.36%).
▷한편, 보통주 1주당 2,000원(시가배당율 4.7%) 현금배당(분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6-30) 공시.
아이에이
(038880)
219원
(
-10.25%)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 속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제3자유상증자대금 부당사용 등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 공시.
케이에스피
(073010)
4,765원
(
-10.93%)
2분기 실적 부진에 급락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36.69억원(전년동기대비 +15.11%), 영업이익 33.41억원(전년동기대비 -20.25%), 순이익 20.67억원(전년동기대비 -46.94%).
월덱스
(101160)
21,050원
(
-12.66%)
2분기 실적 부진에 급락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66.58억원(전년동기대비 -18.44%), 영업이익 83.93억원(전년동기대비 -61.56%), 순손실 -140.6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오브젠
(417860)
13,300원
(
-17.29%)
반기 검토(감사)의견 부적정 등에 급락
▷반기 검토(감사)의견 부적정등 사실확인 공시.
▷108.33억원(자기자본대비 108.39%)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공시.
지슨
(446840)
1,655원
(
-23.56%)
스팩합병 상장 첫날 급락
▷금일 키움제8호스팩과의 스팩합병을 통해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는 2,125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락세를 기록. 한편, 동사는 국내 최고의 전파분석 기술을 보유한 무선보안솔루션 사업을 영위. 주요 제품으로는 스마트 무선도청 상시 방어 시스템(Alpha-I), 상시형 무선도청 탐지 시스템(Alpha-S), 이동형 전파 탐지기(Alpha-P), 무선백도어 해킹 탐지 시스템(Alpha-H), 상시형 불법촬영 탐지 시스템(Alpha-C) 등이 있음.

 

 

 

투자의 판단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이 글은 개인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투자 권유글이 아닙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