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당일분석

2025년 7월 23일 오늘의 주식 분석

by 고포릿스탁 2025. 7. 23.

 ADR

KOSPI 90.61
KOSDAQ 79.19

 

 

 주요이슈

 

- 코스피시장 -

7/23 KOSPI 3,183.77(+0.44%) 美/日 무역협상 타결 속 韓/美 무역 협상 기대감 부각(+), 외국인/기관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빅테크 실적 및 무역협상 관망, 오픈AI 악재 속 반도체株 하락 등에 혼조세를 나타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대부분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3,189.65(+19.71P, +0.62%)로 상승 출발. 장초반 3,199.86(+29.92P, +0.9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빠르게 상승폭을 반납하다 하락세로 돌아서며 낙폭을 확대. 오전 장중 3,141.93(-28.01P, -0.88%)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낙폭을 만회하며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임. 정오 무렵 재차 낙폭을 키우기도 했지만, 오후 장중 반등에 성공했고 점차 상승폭을 확대해 결국 3,183.77(+13.83P, +0.44%)로 장을 마감.

美/日 무역 협상 타결 소식 속 韓/美 무역 협상 기대감 부각 등에 코스피지수는 하루만에 반등.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반등을 이끌었음. 외국인과 기관은 하루만에 순매수 전환. 특히,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도 3,500계약 넘게 순매수. 다만, 빅테크 실적 관망 속 개인이 순매도하며 상승폭은 제한된 모습.

관세 우려 속 부진한 모습을 나타냈던 현대차(+7.51%), 기아(+8.49%), 현대모비스(+2.05%) 등 자동차, POSCO홀딩스(+3.87%), 현대제철(+2.19%), 포스코스틸리온(+4.37%), 하이스틸(+29.89%), 넥스틸(+10.96%) 등 철강주들의 강세가 두드러짐. 오픈AI-소프트뱅크 공동 추진 5,000억 달러 AI 프로젝트 부진 소식 속 美 반도체주 하락 등에 장초반 하락세를 나타냈던 삼성전자(+0.61%), SK하이닉스(+0.19%)도 반등에 성공하는 모습. 특히, 철강주들은 중국 내 철강 생산량 감소 소식, 알래스카 LNG 사업 한국 참여 기대감 부각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트루스소셜을 통해 "우리는 방금 일본과 대규모 합의를 완료했다. 아마도 지금까지의 협의 중 최대 규모일 것"이라며, "일본은 상호관세로 15%를 내게 될 것"이라고 밝힘. 15%의 상호관세율은 앞서 일본에 통보 한 25%보다 10%포인트 낮은 수치임. 특히, 양국 관세 협상의 쟁점이었던 자동차 부문의 경우 기존에 부과된 25% 관세율의 절반인 12.5%로 하고, 기존 세율인 2.5%를 더해 최종 15%로 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해짐. 이에 25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열릴 예정인 '한?미 2+2 통상협의'에서도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비슷한 수준에서 정해질 가능성이 커지는 모습.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도 동반 상승.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달러-원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2원 하락한 1,379.8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158억, 2,923억 순매수, 개인은 6,826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3,516계약, 98계약 순매수, 기관은 3,416계약 순매도.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0.5bp 하락한 2.458%,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0.9bp 하락한 2.830%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3틱 오른 107.26으로 마감. 금융투자가 3,175계약 순매수, 투신은 3,138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5틱 오른 118.22로 마감. 외국인이 1,810계약 순매수, 금융투자, 연기금등은 678계약, 525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다소 우세. 기아(+8.49%), 현대차(+7.51%), POSCO홀딩스(+3.72%), 삼성바이오로직스(+2.11%), 현대모비스(+2.05%), 두산에너빌리티(+1.28%), LG에너지솔루션(+0.90%), KB금융(+0.61%), 삼성전자(+0.61%), SK하이닉스(+0.19%) 등이 상승. 반면, 한화오션(-3.02%), 삼성생명(-1.68%), NAVER(-1.49%), 한화에어로스페이스(-1.30%), HD현대중공업(-0.84%), 셀트리온(-0.61%), 하나금융지주(-0.44%), 신한지주(-0.15%), 삼성물산(-0.12%)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다소 우세. 운송장비/부품(+1.86%), 금속(+1.71%), 전기/가스(+1.63%), 기계/장비(+1.61%), 운송/창고(+1.18%), 제조(+0.91%), 제약(+0.87%), 유통(+0.78%), 전기/전자(+0.67%), 화학(+0.38%), 비금속(+0.20%)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종이/목재(-2.44%), IT 서비스(-1.99%), 오락/문화(-1.42%), 증권(-1.24%), 통신(-1.20%), 섬유/의류(-1.09%), 보험(-1.02%), 건설(-0.63%), 음식료/담배(-0.61%), 금융(-0.45%) 업종 등은 하락.

마감지수 : KOSPI 3,183.77(+13.83P/+0.44%)

 

 

 

- 코스닥시장 -

7/23 KOSDAQ 813.56(+0.07%) 韓/美 무역 협상 기대감(+), 개인 순매수(+), 제약/바이오株 강세(+),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빅테크 실적 및 무역협상 관망, 오픈AI 악재 속 반도체株 하락 등에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15.88(+2.91P, +0.36%)로 상승 출발. 장중 고점으로 출발한 지수는 이내 하락세로 돌아서며 낙폭을 확대. 오전 중 802.30(-10.67P, -1.31%)까지 밀려나며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낙폭을 만회하는 모습. 장후반 반등에 성공한 지수는 소폭 상승세를 이어가다 결국 813.56(+0.59P, +0.07%)으로 장을 마감.

美/日 무역 협상 타결 소식에 韓/美간 무역 협상 기대감이 커지면서 코스닥지수는 하루만에 반등. 개인이 1,400억원 넘게 순매수하며 지수 반등을 이끌었음. 다만, 빅테크 실적 관망 속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며 상승폭을 제한적인 모습.

특히, 삼천당제약(+29.71%)이 경구용 GLP-1 제네릭, 오리지널 약물 '리벨서스'와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성공 소식에 상한가를 기록한 것을 비롯해 에이비엘바이오(+5.92%), 보로노이(+5.17%), 젬백스(+5.06%)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들의 강세가 두드러짐. 이날 신규 상장한 도우인시스(+38.59%)는 급등. 반면, 오픈AI-소프트뱅크 공동 추진 5,000억 달러 AI 프로젝트 부진 소식 속 美 반도체주 하락 등에 리노공업(-4.20%), 이오테크닉스(-1.17%), 유진테크(-1.70%) 등 반도체 관련주가 부진한 모습을 나타냈고, 에스엠(-3.69%), JYP Ent.(-2.39%), 와이지엔터테인먼트(-3.42%) 등 엔터주도 하락.

수급별로는 개인이 1,470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24억, 1,072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삼천당제약(+29.71%), 에이비엘바이오(+5.92%), 보로노이(+5.17%), 케어젠(+4.24%), 파마리서치(+1.92%), 코오롱티슈진(+0.72%), 휴젤(+0.72%), 클래시스(+0.69%), 에코프로(+0.63%), 알테오젠(+0.63%), 실리콘투(+0.59%), HLB(+0.40%), 에코프로비엠(+0.18%), 리가켐바이오(+0.14%) 등이 상승. 반면, 리노공업(-4.20%), 에스엠(-3.69%), JYP Ent.(-2.39%), 이오테크닉스(-1.17%), 펩트론(-0.84%), 레인보우로보틱스(-0.56%)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하락 업종이 우세. 통신(-3.79%), 기타제조(-2.45%), 오락/문화(-1.88%), IT 서비스(-1.31%), 건설(-0.85%), 출판/매체복제(-0.74%), 금융(-0.66%), 전기/전자(-0.61%), 운송/창고(-0.60%), 화학(-0.47%), 음식료/담배(-0.36%), 유통(-0.30%), 기계/장비(-0.22%) 업종 등이 하락. 반면, 종이/목재(+3.64%), 제약(+2.55%), 운송장비/부품(+0.62%), 금속(+0.46%), 제조(+0.45%), 일반서비스(+0.35%) 업종 등은 상승.

마감지수 : KOSDAQ 813.56P(+0.59P/+0.07%)

 

 

 시장종합

 

 

 

 

 특징테마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美·日 무역협상 타결 속 자동차 관세 인하 소식 등에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전기차 등 테마 상승.

▷美·日 알래스카 LNG 합작법인 설립 소식 속 한국 참여 기대감 등에 강관업체,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남-북-러 가스관사업, 셰일가스, 피팅(관이음쇠)/밸브, LNG 등 알래스카 LNG 관련 테마 상승. 철 강주는 중국 내 철강 생산량 감소 및 트럼프 "일본과 무역협상 타결 완료" 소식 속 韓美 관세 타결 기대감 등도 호재로 작용.

▷HD현대인프라코어 2분기 호실적 발표 등에 건설기계 테마 상승.

▷더불어민주당, 미프진 등 임신중지 급여적용 법안 추가 발의 소식에 낙태/피임 테마 상승.

▷이재명 대통령, 오는 25일 부산 타운홀 미팅 개최 속 일부 종합 물류/ 해운 테마 상승.

▷도우인시스(+38.59%)가 신규 상장 첫날 급등한 가운데, 일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폴더블폰 테마 상승.

▷삼천당제약(+29.71%)이 경구용 GLP-1, 오리지널 약물과 동등성 확인에 상한가를 기록한 가운데, 일부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이 외에 마이크로 LED, 2차전지(생산), 비철금속, 황사/미세먼지, 니켈,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종합상사,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바이오시밀러, 스마트카,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정유,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온실가스(탄소배출권)/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타이어, 전선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오픈AI-소프트뱅크 공동 추진 5,000억 달러 AI 프로젝트 부진 소식 속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1.75%) 약세 영향 등에 반도체 재료/부품/장비, HBM(고대역폭메모리),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등 AI 관련 테마 하락.

▷민생 회복 소비쿠폰 접수 시작 속 지역화폐 테마 연일 하락.

▷中 리튬 선물 가격 3개월래 최고치 영향 등에 최근 시장에서 부각됐던 리튬 테마 하락.

▷대주주 양도소득세, 증권거래세 인상 등 이재명 정부 첫 세법개정안 발표를 앞두고 투자심리 위축 속 증권 테마 하락. 은행, 보험 등 금융주, 지주사 테마도 하락.

▷STO 관련 법안 국회 법안소위 논의 불발 여파 지속 등에 STO(토큰증권 발행), NFT(대체불가토큰) 등 테마 하락.

▷이 외에 4대강 복원, 캐릭터상품, 태풍 및 장마, 퓨리오사AI,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음원/음반, 창투사, 전자결제(전자화폐), DMZ 평화공원, 편의점, 인터넷 대표주, 두나무, 웹툰, 일자리(취업), 조선, 딥페이크, 야놀자, 광고, 카지노, 핀테크, 블록체인, 국내 상장 중국기업, 모바일콘텐츠, 골판지 제조, 마이데이터, 스테이블코인, 게임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자동차 대표주 등 美·日 무역협상 타결 속 자동차 관세 인하 소식 등에 상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트루스소셜을 통해 "우리는 방금 일본과 대규모 합의를 완료했다. 아마도 지금까지의 협의 중 최대 규모일 것"이라며, "일본은 상호관세로 15%를 내게 될 것"이라고 밝힘. 15%의 상호관세율은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현지시간) 일본에 통보한 25%보다 10%포인트 낮은 수치임. 특히, 양국 관세 협상의 쟁점이었던 자동차 부문의 경우 기존에 부과된 25% 관세율의 절반인 12.5%로 하고, 기존 세율인 2.5%를 더해 최종 15%로 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해짐.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과의 무역협상을 완료함에 따라 25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열릴 예정인 '한·미 2+2 통상협의'에서도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비슷한 수준에서 정해질 가능성과 함께, 지난 4월부터 미국이 수입차에 부과해 온 25% 관세율에 일본차나 한국차가 예외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주목되는 모습.

▷이 같은 소식 속 기아, 현대차, HL만도, 현대위아, 현대모비스, 에스엘, 화신, 네오오토, SNT모티브, 코스텍시스, 현대공업, 모티브링크, 한중엔시에스 등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전기차 테마가 상승.
알래스카 LNG 관련주 美·日 알래스카 LNG 합작법인 설립 소식 속 한국 참여 기대감 등에 상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일본과 무역 협상 타결 소식을 전한 가운데, 일본이 알래스카에서 미국과 LNG 합작 투자를 한다는 계획도 밝힘. 올해 출범한 트럼프 정부는 한국 및 일본 정부와 무역 협상에서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를 지속적으로 권한 바 있으며,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일본 참여가 확실해질 경우, 한국 참여 가능성 또한 커질 것이란 기대감이 나오고 있음.

▷한편, 알래스카 LNG 개발 사업은 알래스카 북부의 천연가스를 남부 액화 시설로 운반해 가공한 뒤, 이를 태평양을 가로질러 아시아 등에 수출하는 대규모 사업으로, 사업 규모는 440억달러(약 63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이렘, 하이스틸, 넥스틸, 동양철관, 세아제강, 화성밸브, 대동스틸, 휴스틸, POSCO홀딩스 등 강관업체/ 철강 중소형/ 철강 주요종목/ 남-북-러 가스관사업 등 알래스카 LNG 관련주가 상승. 철강주는 중국 내 철강 생산량 감소 및 트럼프 "일본과 무역협상 타결 완료" 소식 속 韓美 관세 타결 기대감 등도 호재로 작용.
건설기계 HD현대인프라코어 2분기 호실적 발표 등에 상승
▷HD현대인프라코어가 2분기 호실적을 발표,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18조원(전년동기대비 +6.89%), 영업이익 1,058.25억원(전년동기대비 +29.79%), 순이익 275.26억원(전년동기대비 -56.38%)을 기록. 신흥시장 건설기계 판매 호조가 호실적을 이끌었음. 특히, 동남아, 아프리카, 중남미를 중심으로 중대형 장비 판매가 확대됐음.

▷HD현대인프라코어 관계자는 "아프리카와 중남미 등 광물 보유국 중심으로 광산 채굴 장비 수요가 늘고 있다"며 "글로벌 불확실성이 높아지며 금 수요가 증가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 아울러, 유럽 시장 수요도 2분기 저점을 통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미 시장은 관세 및 금리 인하 불확실성 등에 회복이 지연되고 있으나 여름철 비수기 이후 분위기가 개선될 것으로 HD현대인프라코어 측은 기대.

▷이와 관련, HD현대인프라코어가 18% 넘게 급등, HD현대건설기계, 진성티이씨, 두산밥캣 등 건설기계 테마가 상승.
낙태/피임 더불어민주당, 미프진 등 임신중지 급여적용 법안 추가 발의 소식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에 이어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이 '미프진' 등 의약품을 통한 인공임신중지를 법적으로 허용하고, 인공임신중지 수술과 의약품에 건강보험급여를 적용하는 법안을 금일 제출한 것으로 전해짐. 이수진 의원이 대표발의한 모자보건법 일부개정안은 임산부 동의를 받아 인공임신중지를 허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인공임신중지에 보험급여를 실시하는 내용을 담은 것으로 알려짐.

▷이수진 의원은 "우리나라는 헌법재판소가 자기낙태죄와 의사낙태죄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지만 아직 관련 법률 정비가 이뤄지지 않아 입법 공백이 지속되고 있다"며, "임신중지 시 약물 사용을 허용하고 제한없이 인공임신중지를 허용하는 동시에 충분한 정보 제공과 지원으로 여성 자신의 판단과 결정에 의한 인공임신중지가 가능토록 하는 입법"이라고 설명.

▷이 같은 소식에 현대약품, 명문제약 등 낙태/피임 테마가 상승.
종합 물류/ 해운 李 대통령, 오는 25일 부산 타운홀 미팅 개최 속 일부 관련주 상승
▷이재명 대통령은 오는 25일 ‘타운홀 미팅’ 형식의 부산지역 발전 방안 토론회를 개최할 예정. 이 대통령은 부산 토론회에서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과 북극항로 개척 시대 준비와 관련해 참석자들과 의견을 나눌 예정. 부산 토론회는 광주와 대전 행사에 이어 세 번째 이 대통령의 소통 행보로 이 대통령은 지난 18일 부산에서 토론회를 열 예정이었으나, 전국적인 폭우에 토론회를 취소하고 폭우 피해상황 점검에 나선 바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동방, 현대글로비스, 한솔로지스틱스, KSS해운, 팬오션, HMM 등 일부 종합 물류/ 해운 테마가 상승. 한편, 동방은 전일 장 마감 후 1,200.87억원(최근 매출액 대비 13.8%) 규모 쿠팡 간선 운송 위탁 계약 체결 공시.
반도체 관련주/ AI 챗봇(챗GPT 등) 등 오픈AI-소프트뱅크 공동 추진 5,000억 달러 AI 프로젝트 부진 소식 속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1.75%) 약세 영향 등에 하락
▷지난밤 뉴욕증시에서는 빅테크 실적 및 무역 협상 관망 속 혼조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하락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00.71포인트(-1.75%) 하락한 5,638.71을 기록. 특히, 오픈AI와 소프트뱅크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5,000억 달러 규모의 인공지능 프로젝트가 부진을 겪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관련주 중심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됐음.

▷이와 관련, 美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취임 직후 발표한 5,000억달러(약 690조원) 규모의 인공지능(AI) 투자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다고 전해짐.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日 소프트뱅크, 美 오라클이 합작한 해당 프로젝트로 설립된 회사 ‘스타게이트’는 아직 AI 데이터센터 건설 계약을 단 한 건도 체결하지 못했으며, 단기 사업 계획 역시 대폭 축소했다고 설명. 이에 엔비디아(-2.54%), 브로드컴(-3.34%), AMD(-1.45%), TSMC ADR(-1.78%) 등 AI 반도 체 관련주들이 약세를 나타냈으며, 마이크로소프트(-0.94%), 아마존(-0.80%), 메타(-1.14%) 등 일부 대형 기술주들도 하락.

▷이 같은 소식에 금일 미래산업, 리노공업, 뉴파워프라즈마, 램테크놀러지, 자비스, 라온테크, 브이엠, AP시스템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이스트소프트, 브레인즈컴퍼니, 코난테크놀로지, 마음AI, 사이냅소프트, 삼성에스디에스, 크라우드웍스, 알체라 등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도 하락.



 

 

 특징종목

 

특징종목 이슈요약
풀무원
(017810)
15,050원
(
+20.50%)
中 냉동김밥 열풍 소식에 급등
▷중국 외식업계에 따르면, 동사 중국법인의 냉동김밥이 지난해 8월 출시 이후 올 7월까지 총 250만줄 판매됐다고 전해짐. 누적 판매 금액만 5,300만위안(약 102억원)에 달한다고 것으로 알려졌으며, 상반기 중국법인 매출도 전년 대비 30%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알려짐.
▷동사는 K푸드 열풍으로 미국에서 김밥 붐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중국에서도 잠재적 수요가 높다고 평가했으며, 향후 다양한 채널을 통해 냉동김밥 판매를 확대한다는 방침임.
HD현대인프라코어
(042670)
13,230원
(
+18.76%)
2분기 매출액 및 영업이익 호조 등에 급등
▷25년2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18조원(전년동기대비 +6.89%), 영업이익 1,058.25억원(전년동기대비 +29.79%), 순이익 275.26억원(전년동기대비 -56.38%).
동방
(004140)
3,580원
(
+3.77%)
1,200.87억원 규모 쿠팡 간선 운송 위탁 계약 체결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 유한회사, 쿠팡풀필먼트서비스 유한회사와 1,200.8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3.8%) 규모 공급계약(쿠팡 간선 운송 위탁 계약) 체결(계약기간:2025-07-22~2026-07-31) 공시.
금호타이어
(073240)
4,750원
(
+2.81%)
기아 픽업트럭 '타스만'에 신차용 타이어 공급 소식 속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기아의 신형 픽업트럭 '타스만(Tasman)'에 신차용 타이어(OE, Original Equipment)를 공급한다고 밝힘. 타스만에 공급되는 동사의 크루젠 HT51은 금호타이어의 프리미엄 SUV 전용 타이어인 크루젠(CRUGEN)의 명맥을 잇는 사계절용 SUV 및 픽업트럭용 타이어임.
▷이와 관련, 동사 김인수 OE영업본부장 전무는 "기아 최초의 정통 픽업트럭인 타스만에 신차용 타이어를 공급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동사는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의 대표 모델에 OE 타이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품질 경쟁력과 브랜드 가치를 입증하고 있다"고 밝힘.
HD현대일렉트릭
(267260)
479,500원
(
+2.46%)
2분기 호실적 분석 등에 소폭 상승
▷미래에셋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 9,062억원(-1.2% YoY), 영업이익 2,091억원(-0.4% YoY, OPM 23.1%)로 컨센서스 대비 각각 11%, 8% 하회하였다고 밝힘. 이어진 연결 조정으로 영업이익 성장세가 다소 완만해 보일 수 있으나, 별도 기준 영업이익률은 1분기 25.0%에서 2분기 27.7%로 상승한 점을 감안하면 수주잔고의 높은 수익성이 실적에 꾸준히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언급.
▷이어 고객사와 협의를 통해 추가 비용에 대한 보전 방안이 긍정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만큼 향후 수익성 개선 여지가 존재하며, 이에 현재의 관세 영향 제거 시 영업이익률은 24.1%까지 조정되는 호실적임을 추정할 수 있다고 설명.
▷아울러 기존 유틸리티 중심의 북미 수주 구조에 더해 데이터센터향 수주 역시 고마진인 250MVA급 이상 대형 변압기를 요구하고 있어 향후 북미 매출 성장의 업사이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힘. 고수익 수주가 누적, 수주잔고는 약 9.2조원으로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음에도 동사는 가시적인 이익 개선 흐름 대비 할인된 밸류에이션에 거래되고 있어, 리레이팅 여지는 충분하다고 판단된다고 언급.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50,000원 -> 580,000원[상향]
GKL
(114090)
15,900원
(
-8.30%)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전망 및 투자의견 하향 등에 약세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은 1,022억원(YoY +3.4%), 영업이익은 138억원(YoY +4.6%)으로 컨센서스 대비 5% 하회할 것으로 전망. 2분기 총 드롭액은 9,148억원(YoY -2.8%)으로 감소했다며, 지역별 드롭액을 보면 일본 VIP가 YoY +12% 증가한 반면, 중국 VIP(YoY -26%), 매스고객(YoY -6%), 기타 VIP(YoY -2%)가 일제히 감소했다고 설명. 반면, 홀드율은 2분기 11.1%로 전년동기대비 0.6%p 개선되며 카지노 매출 증가를 견인할 것으로 분석.
▷아울러 동사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한다며, 이는 선행지표인 드롭액이 상반기 감소세를 지속했고, 중국 인바운드 수혜가 직접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상황에서 투자 심리 개선으로 주가가 급등하여 현재 26F P/E가 19배에 도달했기 때문이라고 설명.
▷투자의견 : BUY -> M.PERFORM[하향], 목표주가 : 15,000원[유지]

 

 

특징종목 이슈요약
도우인시스
(484120)
44,350원
(
+38.59%)
신규 상장 첫날 급등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32,000원을 상회한 54,4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상승폭을 축소하며 거래를 마감. 한편, 동사는 초박형 강화유리(UTG) 연구개발, 제조 및 판매 업체로 폴더블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UTG(Ultra Thin Glass, 초박형 강화유리)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사용되는 기능성 유리를 제조, 판매하고 있음.
삼천당제약
(000250)
213,500원
(
+29.71%)
경구용 GLP-1 제네릭, 오리지널 약물 '리벨서스'와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성공 소식에 상한가
▷동사는 언론을 통해 현재 개발중인 경구용 GLP-1 제네릭이 오리지널 약물인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의 ‘리벨서스(Rybelsus)’와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힘. 이번 결과는 동사가 주사제를 경구제로 전환하는 플랫폼 기술인 S-PASS를 이용해 개발한 물질(SNAC Free)을 사용해 다수의 오리지널의 조성물 특허들을 회피하면서도 오리지널과 동등한 효능 재현에 성공했다는 의미로 해석되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리벨서스의 제네릭 개발의 본질은 ‘더 좋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특허를 회피하면서 오리지널과 동일하게 복제하여 경쟁자들보다 시장에 더 빨리 진입을 하는 것'이 목적"이라며, "이번 BE 시험을 통해 S-PASS 플랫폼의 높은 흡수율뿐만 아니라 정밀한 흡수율 조절 기술력도 입증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동사 계열사 옵투스제약도 급등.
제이엔케이글로벌
(126880)
4,855원
(
+21.07%)
인도 국영기업으로부터 총 4,100억원 규모 산업용 가열로 EPC 프로젝트 수주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인도 국영 정유사 Bharat Petroleum Corporation Limited(BPCL)로부터 총 4,100억원 규모의 산업용 가열로 EPC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밝힘. 동사는 지난 16일 낙찰 통지서를 접수했으며, 향후 본 계약 체결과 함께 발주가 확정되는 일정에 따라 제품을 납품 할 예정임. 특히, 이번 계약은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의 약 3배에 해당하는 규모로 단일 프로젝트 기준으로는 창사 이래 최대 수주이며, 단순 매출 증대를 넘어 수익성과 글로벌 시장 내 입지를 동시에 강화할 수 있는 전략적 이정표로 평가된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수주를 통해 2025년 히터 사업 부문에서 역대 최대 실적 달성이 기대된다"며, "인도는 향후 정유·천연가스·석유화학 수요가 본격 확대될 전략 시장으로, 이미 구축된 영업 인프라와 기술 경쟁력을 토대로 추가 수주 가능성도 높게 보고 있다"고 밝힘.
넥스트바이오메디컬
(389650)
52,700원
(
+12.49%)
'넥스피어-F' 美 FDA 허가 기대감 등에 급등
▷LS증권은 동사에 대해 넥스피어-F의 2027년 미국 FDA 허가를 목표로 임상개발 및 허가 전략을 구체화하고, 올해 3분기 임상을 시작할 계획인 가운데, 현재 CMS로부터 IDE Category B 승인을 확보함에 따라, 임상 단계에서 메디케어 보험 적용이 가능해졌으며, 향후 보험 수가화 및 시장 진입 속도 측면에서 유리한 기반을 마련한 상황이라고 밝힘. 미국 FDA 허가 가능성은 기발표된 임상 논문으로 유효성과 안전성이 확인되면서 더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며, 미국 내 메이저 회사와의 판권 계약으로 출시 이후 성공 가시성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
▷넥스피어-F 미국 영업가치를 2025년 파트너사 계약, 2027년 FDA 허가, 2028년 출시, 첫해 침투율은 0.5%, 피크 침투율은 6년차 5%를 가정하면 2028년 출시 첫해 매출 1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출시 3년차인 2030년에는 매출 420억원에 영업이익 250억원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며, 이를 반영한 넥스피어-F 미국 영업가치는 3,800억원으로 예상한다고 분석.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83,000원[신규]
디와이씨
(310870)
1,645원
(
+9.89%)
방산업체 신세계정공 인수 결정 등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사업다각화 및 신성장동력 확보 목적으로 주식회사 신세계정공 주식 991,346주를 130억원에 신규 양수키로 결정(양수후지분율:100%, 양수예정일자:2025-07-31) 공시.
▷언론에 따르면, 신세계정공은 K9 자주포에 사용하는 155㎜ 포탄을 포함해 곡사포, 박격포탄의 신관 부품을 제작하고 있다며, 중거리 지대공 유도 미사일 체계인 천궁2, 휴대용 대전차 미사일인 현궁 등 국내 주요 방산 제품의 부품을 제작하는 기업이라고 전해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풍산FNS, KDI, SG솔루션 등 국내 주요 방산기업들을 고객사로 두고 있으며 설립 이후 지금까지 안정적인 매출 창출을 이뤄왔다고 알려짐.
코스텍시스
(355150)
11,650원
(
+4.95%)
63.54억원 규모의 사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 속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시설자금 확보를 위해 교보현대메자닌1호사모투자합자회사 등 대상으로 63.54억원 규모의 사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교환가액:14,351원, 교환청구일:2025-08-09 ~ 2028-07-08) 공시. 아울러 자기주식을 교환대상으로 하는 교환사채 발행을 위해 보통주 442,778주(63.54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8-08~) 공시.
원풍
(008370)
4,600원
(
+3.49%)
1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에 상승
▷보통주 224,971주(1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7-24~2025-10-22) 공시.
대진첨단소재
(393970)
9,120원
(
+2.82%)
美 생산 거점 확대 소식 등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현지 생산거점 확대에 나선다고 밝힘. 현재 운영 중인 미국 미시간 공장에 이어 내년 테네시 공장 가동으로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수혜를 선점하겠다는 전략이라고 설명. 현재 미시간주 트로이에 위치한 공장에서 활성화 트레이를 생산 중으로 이 공장은 올해 1분기 기준 4만3,200개 생산능력 중 약 50% 수준인 2만2,000개를 달성하며 초기 단계부터 안정적인 가동률을 보이고 있다고 밝힘.
▷이어 내년 완공을 목표로 하는 테네시 공장은 연간 2,800t 규모의 CNT(탄소나노튜브) 도전재를 생산해 북미 현지 공급에 나설 계획으로 올 하반기 시범 가동을 거쳐 내년부터 풀가동에 돌입하면, 동사는 미국 내 두 개의 생산 거점을 운영하게 된다고 밝힘.
티엘비
(356860)
26,300원
(
+2.73%)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소폭 상승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5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45억원에서 68억원(흑전 YoY)으로 51.0% 상향조정한다며, 현재 시장 컨센서스(44억원)을 54.5% 상회하는 수치라고 밝힘. 특히, 서버용 6,400Gbps DDR5 메모리 모듈 등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믹스 개선 효과가 기존 예상치를 크게 상회한 것으로 파악된다며, 10개 분기 만에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로의 회복이 예상된다고 언급.
▷이어 메모리모듈용 PCB 역시 MLB기판과 유사하게 오랫동안 저부가 시장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DDR5의 고용량화, eSSD 확산, CXL, LPCAMM, SOCAMM 등 차세대 메모리 모듈의 등장과 함께 기판의 고밀도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 이에 따른 기술적 진입장벽 상승과 공정 난이도 증가는 메모리모듈용 PCB에 특화된 동사의 경쟁우위를 더욱 부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올해 동사의 예상 영업이익(220억원)은 시장 컨센서스를 28.4% 상회할 전망이며 중장기적으로도 구조적인 ASP 상승으로 타 기판 업종 대비 안정적인 실적 흐름이 예상된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8,000원 -> 31,000원[상향]
위메이드플레이
(123420)
10,720원
(
+2.49%)
스테이블코인 도입 본격화 소식에 소폭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박관호 위메이드 의장은 동사의 신규 소셜 카지노 게임에 스테이블코인 ‘위믹스 달러(WEMIX$)’를 도입하라고 직접 지시했다고 전해짐. 그룹의 블록체인 생태계와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갖춘 소셜 카지노 사업을 연결해 새로운 글로벌 수익 모델을 창출하겠다는 전략이며, 박 의장의 지시는 플레이링스 오선호 대표 에게 전달된 것으로 알려짐. 동사는 자회사 플레이링스를 통해 북미와 유럽에서 소셜 카지노 장르를 중심으로 꾸준한 성과를 올리고 있으며, 신작은 3분기 출시가 예정돼 있고 이후 기존 게임에도 위믹스 연동을 적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알려짐.
▷박관호 의장은 블록체인을 핵심 사업 플랫폼으로 삼겠다는 방침을 거듭 밝혔음. 올해 초 신년사에서도 "위믹스 플레이는 전 세계 게이머에게 혁신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글로벌 플랫폼이 될 것"이라며, "일상에서도 블록체인 기술이 체감되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언급.
비트컴퓨터
(032850)
5,160원
(
+2.38%)
1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에 소폭 상승
▷보통주 198,413주(1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7-24~2025-10-23) 공시.
넥스틴
(348210)
46,250원
(
-2.63%)
2분기 수익성 저하 전망 및 25년 연간 실적 기대치 하향 조정 불가피 분석 등에 소폭 하락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예상 실적은 매출액 250억원(+46.4% QoQ, +69.5% YoY), 영업이익 44억원(+29.5% QoQ, +949.9% YoY)으로 추정된다며, 중국향 수주 공백이 있었으나 국내 고객사향 크로키 장비 공급 효과로 전분기 대비 외형 개선이 예상된다고 밝힘. 다만 1분기 실적 부진에 따른 기저 효과 영향이 크며, 제품 믹스 변화로 수익성은 오히려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 특히, 크로키는 이지스 대비 낮은 판가와 유사한 판관비 구조를 보유하고 있어 채산성이 낮고, 이에 따라 수익성 기여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이어 2025년 연간 실적에 대한 기대치는 다소 하향 조정이 불가피하다며, 상반기 중국향 수요 부진과 3분기 수주 공백을 감안할 때, 연초 예상했던 외형 성장은 달성이 쉽지 않아 보인다고 밝힘. 전년도 중국 고객사의 수요는 일시적인 선행 발주(pull-in)로 일부 수요가 앞당겨졌고, 올해 상반기에는 수율 개선 지연과 생산 가동률 저하 등 고객사의 내부 생산 차질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전반적인 발주 여건이 위축됐다고 설명.
일진파워
(094820)
11,080원
(
-6.26%)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제외 결정 속 거래재개 첫날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제외 결정 및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제외 결정으로 주권매매거래정지해제(해제일:2025-07-23) 공시. 이에 지난 6월13일부터 거래가 정지됐던 동사의 주권매매거래가 금일 재개됨.
▷한편, 동사는 지난 6월13일 횡령ㆍ배임혐의발생에 따른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사유발생)으로 주권매매거래가 정지된 바 있음.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투자의 판단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이 글은 개인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투자 권유글이 아닙니다.